㎞가 늘어난 4069㎞(89곳
페이지 정보
test 25-01-08 11:15 view32 Comment0관련링크
본문
지정·변경 고시된 지방하천20곳 중 지난해 10월에 10곳이 먼저 승격되었고, 이번 달부터 주천강 등 나머지 10곳이 승격돼국가하천연장은 기존에 비해 267㎞가 늘어난 4069㎞(89곳)가 된다.
국가하천으로 승격된하천에 대해서는 100년 빈도 이상 홍수에도 안전.
20곳을국가하천으로 선정·고시했다.
밀양시청 블로그 갈무리 경남에서는 지난해 10월 창원천이국가하천으로 지정된 데 이어 새해 단장천·동창천이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
경남도와 낙동강유역환경청은하천시설물,하천점용허가 등.
하천은 경남 밀양 단장천 20.
43㎞, 밀양∼경북 청도 동창천 28.
45㎞, 대구∼경북 의성 위천 98.
이에 따라 낙동강청국가하천관리 지역은 기존 23곳 1천71.
앞서 지난 10월에는 부산 온천천, 울산 회야강, 경남 창원천.
앞서 지난 10월1일 먼저 승격한 10곳(200㎞)에 이어 이들 10곳이 승격되는 것이다.
환경부는국가하천으로 승격된 20곳의하천에 대해 100년 빈도 이상 홍수에도 안전하도록 제방 보강과 배수시설 개선 등 치수계획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계획.
충북도 제공 그동안 충청북도가 관할했던 지방하천인 병천천과 조천이 새해부터국가하천으로 승격됐다.
2일 충청북도에 따르면 전날부터 충북을 지나는 병천천 21.
4km 구간의하천관리 권한이 지방에서국가로 이관됐다.
안전할 수 있도록 제방보강과 배수시설 개선 등 치수계획을 우선 마련할 계획이다.
신속한하천정비를 위해 2025년 정부예산이 535억 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올해 103억 원 보다 432억 원 증액된 규모다.
국가하천의 수위 상승에 영향을 받는 지류지천(배수영향.
호우가 내리면 수위가 빠르게 상승하는데, 지방하천은 정비가 미흡한 경우가 많아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국가하천은국가가, 지방하천은 지방자치단체가 정비하는 이원화된 관리 체계에서 지방하천에 대한 투자가 부족해 발생한 문제다.
10곳이 2025년 1월 1일부로국가하천으로 승격된다고 30일 밝혔다.
승격하천은 신규지정 8곳과 구간연장 2곳으로, 이에 따라국가하천은 현행 81곳 3802km에서 89곳 4069km로 확대된다.
구체적으로 △한강권역 주천강 △낙동강권역 단장천·동창천·위천 △금강권역.
앞서 지난해 10월에도 창원천이국가하천으로 승격됐습니다.
낙동강청은 승격된국가하천의 관리를.
30일 제주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천미천 등 16곳의 전국 지방하천을 내년 1월 1일부터국가하천으로 승격해국가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